유교 오경(五經)의 하나로 예법(禮法)의 이론과 실제를 음악ㆍ정치ㆍ학문에 걸쳐 예의 근본정신을 풀이한 책이다. 공자(孔子)와 그 후학들이 지은 책들을 한나라의 제후인 헌왕(獻王)이 131편으로 정리하여 엮은 것을 뒷날 유향(劉向)과 대덕(戴德)·대성(戴聖)의 형제들이 잇따라 증보하거나 간추렸다. 대덕(戴德)이 85편으로 엮은 것을 대대례(大戴禮)라 하고 대성(戴聖)이 49편으로 줄인 것을 소대례(小戴禮)라 하는데, 여기 예기는 바로 소대례를 말한다.
유교 오경(五經)의 하나로 예법(禮法)의 이론과 실제를 음악ㆍ정치ㆍ학문에 걸쳐 예의 근본정신을 풀이한 책이다. 공자(孔子)와 그 후학들이 지은 책들을 한나라의 제후인 헌왕(獻王)이 131편으로 정리하여 엮은 것을 뒷날 유향(劉向)과 대덕(戴德)·대성(戴聖)의 형제들이 잇따라 증보하거나 간추렸다. 대덕(戴德)이 85편으로 엮은 것을 대대례(大戴禮)라 하고 대성(戴聖)이 49편으로 줄인 것을 소대례(小戴禮)라 하는데, 여기 예기는 바로 소대례를 말한다.
유교 오경(五經)의 하나로 예법(禮法)의 이론과 실제를 음악ㆍ정치ㆍ학문에 걸쳐 예의 근본정신을 풀이한 책이다. 공자(孔子)와 그 후학들이 지은 책들을 한나라의 제후인 헌왕(獻王)이 131편으로 정리하여 엮은 것을 뒷날 유향(劉向)과 대덕(戴德)·대성(戴聖)의 형제들이 잇따라 증보하거나 간추렸다. 대덕(戴德)이 85편으로 엮은 것을 대대례(大戴禮)라 하고 대성(戴聖)이 49편으로 줄인 것을 소대례(小戴禮)라 하는데, 여기 예기는 바로 소대례를 말한다.